'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 갔을까' 소개 글 - 인용 주간조선 10월 2일에 올라온 글이다. 내 책이 소개되어 있어서 인용한다. [출판] 고구려 열풍… 관심 모으는 고구려 의 역사·교양서 김용만의‘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 윤명철의‘고구려는 우리의 미래다’등 수작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東北邊疆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의 줄임말로 ‘동.. 카테고리 없음 2006.10.04
[스크랩] 동북공정 역사왜곡의 현장 1 . 고구려 천리장성이 중국 만리장성 둔갑 9월 22일부터 심양을 출발하여 연길 환인 집안으로 이어지는 역사기행 마지막날 27일 우리는 고구려 박작성으로 향했다. 우리는 미리 공부를 한대로 이곳이 박작성임을 알고 있었지만 가보니 호산장성이라 되어있었다.(박작성으로 쓰여 있는 곳은 단 한군데도 없음.. 내가 못 본걸까..) 천리장성의 마지.. 인용글들 2006.10.02
2006년 소년한국일보연재 29회 - 신라 민정문서 촌락의 모습과 농민 생활 재산·인구·나이·가축·유실수까지 관리 공정하게 세금 거두며 백성 다스려 신라 민정문서. 가로 58 ㎝ㆍ세로 29.6 ㎝ 크기의 닥나무 종이로 만들어졌다. 신라인의 대다수인 농민들은 어떻게 살았으며 나라에서는 이들을 어떻게 관리했을까요? 하나의 국가가 유지되기 위해.. 신라사연재글 2006.10.01
소년조선에 실린 내 책 - 고구려가 강대국이 된 비결은? 고구려가 강대국이 된 비결은? 고구려 소년 담덕, 유목민 소년 테무친을 만나다(김용만 글, 김정한 그림) ‘고구려가 강대국이 된 비결은 무엇일까?’를 궁금하게 여긴다면 이 책을 펴보자. 첫 장부터 파란 하늘과 맞닿은 양 드넓고 푸른 대초원 사진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과거 고구려 영토였던 이곳. .. 고구려의발견-나의생각 2006.09.21
소년한국일보연재 27회 - 신라와 발해의 관계 발해와 교류하며 평화로운 관계 유지 8세기 신라와 발해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도. 676년 신라는 당을 몰아 낸 이후 오랜 기간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당나라의 침략을 대비해 꾸준히 군대를 늘려갔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당나라와 다툴 수만은 없었습니다. 당시 세계에서 가장 부강.. 신라사연재글 2006.09.18
국제신문 (부산의 신문)에 실린 '고구려 소년 - "책 국제신문에도 났다. 부산지역 신문에만 2개째다. 쫗다. [어린이 청소년] 대륙 호령한 고구려 유목민들과 손잡다 역사에 상상 더한 동화 팩션 고구려의 힘은 '열린 사고'에 고구려 소년 담덕, 유목민 소년 테무친을 만나다 삼국시대 고대국가 가운데 하나인 고구려는 기원 전후에 건국돼 한반도 .. 고구려의발견-나의생각 2006.09.15
부산일본에 소개된 나의 책 - 고구려 소년 담덕, 유목민 소년 테무친을 만나다. 9월 11일자에 부산일보에서 소개되다. 기분이 좋다. [우리들책세상] 고구려 소년 담덕, 유목민 소년 테무친을 만나다 /김용만 '열린 마음'으로 '열린 세계' 품어라 역사+상상력 가미한 '팩션동화' 다른 문화 존중하며 장점 취해 동아시아 강대국가였던 고구려. 변변치 않은 힘을 가진 작은 나라에서 시작.. 고구려의발견-나의생각 2006.09.11
2006년 소년한국일보연재 - 신문왕의 군사,교육 정책 신문왕, 평화 속 참된 번영 이루다 당 침략 야욕에 맞서며 인재 기르고 국력 다져 신문왕은 문무 대왕의 장남으로, 681년 왕의 자리에 오릅니다. 그 뒤 692년까지 12 년간 나라를 다스립니다. 676년에 신라가 당나라를 몰아 내고 삼국 통일을 이뤘으므로 신문왕 시기에는 겉으로는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시.. 신라사연재글 2006.09.10
'유목민은 내 친구' 고구려 소년은 가슴이 넓었대요 나의 어린이 책을 중앙일보에서도 크게 다루어주었다. 좋다. BOOK꿈나무] '유목민은 내 친구' 고구려 소년은 가슴이 넓었대요 [중앙일보 2006-09-08 21:07] [중앙일보 기선민] 역사동화 형식을 띤 이 책은 고구려가 강대국이 된 비결을 '열린 사고'에서 찾는다. 고구려는 돌궐족.실위족.선비족.거란족 등 변방 .. 고구려의발견-나의생각 2006.09.09
9월 9일(토)에 카페 정모를 합니다. 9월 9일(토)에 카페 정모를 개최하고 합니다. 이번 정모에서는 특별히 카페지기가 여러 회원님들께 '홍산문화 - 요하문명 - 동북공정 - 고구려 - 현대 중국공산당 - 한중관계의 미래와 동아시아 문명' 을 소재로 한 강의를 하겠습니다. 요약하자면 '한국과 중국의 과거와 미래'라는 다소 커다란 제목의 강.. 카테고리 없음 2006.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