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작업과공부

서울신문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 저자 인터뷰

영양대왕 2011. 8. 1. 16:21

[저자와 차 한 잔] “광개토 대왕? 제국의 기틀 세운 太王입니다”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 펴낸 김용만 씨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겠지만, 우리 역사의 큰 인물을 꼽으라면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이름들이 있다.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 김구 선생…. 광개토대왕 역시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18세에 즉위하여 39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고구려의 역사를 크게 바꿔 놓은 왕 중의 왕. 그래서 제국을 연 왕이라는 의미의 태왕으로 불린다.

▲ 김용만 소장은 “광개토태왕의 가치는 정복군주라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제국을 열었다는 데 있다.”고 강조한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그런 인물이다 보니 관련 서적도 많을 것 같지만, 뜻밖에 광개토대왕이 어떻게 시대를 바꿔 나갔는지 제대로 서술한 책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광개토대왕릉 비문’을 중심으로 한 연구서들이나, 터무니없을 정도로 신격화한 위인전류가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김용만 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이 낸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역사의아침 펴냄)은 연구서를 넘어 대중을 향한 교양서라는 점에서 반가울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 신화 속의 인물이 아닌 실체적 인물로서의 광개토대왕을 그리고 싶었다는 김 소장을 만났다.

●거품 빼고 시대 바꿔나간 과정 살펴

김 소장은 먼저 단호한 어조로 광개토대왕을 ‘대왕(大王)’이 아닌 ‘태왕(太王)’으로 불러야 한다고 역설한다.

“대왕은 큰 업적을 남긴 임금에 대한 후세의 습관적 호칭일 뿐입니다. 반면 태왕은 중국의 황제나 유목제국의 선우, 칸과 같이 ‘Emperor’로 번역되는 제국의 지배자를 이르는 말이지요. 여러 금석문에 나오는 실체이자 고구려시대에 통용되던 용어입니다.”

광개토대왕에 대한 그의 관점은 ‘일반적 상식’과 상당히 궤를 달리한다.

“많은 사람들이 광대한 영토를 확보한 왕, 또는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룬 왕이라고만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입견은 진정한 실체를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광개토태왕의 가치는 정복군주라는 데 있는 게 아니라 고구려의 체질을 바꾸고 제국을 열었다는 데 있습니다.”

●만들어진 영웅 아닌 왕의 고뇌 주목

그가 강조하는 제국이란 무슨 의미일까? “여러 종족들을 포괄하고 다양한 문화를 흡수해 재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나라를 제국이라고 합니다. 고구려 역사에서 그 틀을 만든 왕이 바로 광개토태왕입니다.”

김 소장은 고구려 역사 전문가다. 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역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훨씬 전부터 고구려는 늘 그를 따라다닌 화두였다. 지금까지 쓴 논문이나 책도 대부분 고구려에 관한 것이다.

 

그런 그도 광개토대왕을 소재로 한 책을 집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고백한다.

“항상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기 때문에 어떤 관점을 선택해야 할지 난감했습니다. 그동안 알려진 이미지가 워낙 강해서 그것과 다른 내용을 기술해야 한다는 점이 큰 부담이었지요.”

고민은 대중의 머릿속에 자리 잡은 환상을 어떻게 깰 것인가에서부터 시작됐다.

그가 그리고 싶었던 인물은 20세기에 ‘만들어진 영웅’이 아니라 인간적 고뇌도 하고 전쟁에 패하기도 하는 고구려의 왕이었기 때문이다.

“역사를 신화로 만들면 안 됩니다. 한 인간에 대한 기대의 틀을 만들어 놓고 기록을 거기에 맞춰 나가는 건 해악이지요. 저는 신화 속에 있는 위대한 인물이 아니라 제국의 경영자였던 광개토태왕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때 그는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을까, 왜 정복에 나서야 했을까’와 같은 문제들을 파고들 수밖에 없었지요.”

●이제 고구려사도 세계사에 편입해야

고구려 연구자로서 김 소장이 바라는 궁극적인 바람은 고구려 역사를 한 단계 격상시키는 것이다. “이젠 고구려의 역사를 세계 역사에 편입시켜야 합니다. 로마사처럼 고구려사가 세계사에서 하나의 모델로서 정립되기를 기대합니다.”

이호준 편집위원 sagang@seoul.co.kr

2011-07-23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