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글들

[스크랩] 고고학상의 시대구분론

영양대왕 2007. 10. 21. 17:21

제7장 시대구분론

- 최성락, 2001,『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학연문화사 -

 

2007021222 신광철

 

Ⅰ. 머리말

 

1. 시대 구분 - 커다란 문화적 변화를 기준으로 설정

2. 시대 명칭 - 일반적으로 문화적인 특성을 암시

└──- 각 연대는 변화되는 시점의 연대를 결정할 뿐, 절대연대는 제시하지 않음

 

Ⅱ. 연구사

연구자

연대

저작 제목

논점

비고

藤田

亮策

1948

「朝鮮の石器時代」

석기시대-금석병용기-낙랑시대-삼국시대

최초의 시대구분

한국 문화의 정체성 및 외래문화의 영향을 강조

남북한

1960

구석기시대 유적의 발견(북한-굴포리유적, 남한-석장리유적)

독자적인 연구가 시작

도유호

1961

『조선원시고고학』

청동기시대 및 철기시대의 확인

일본학자 주장 부정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를 구분

북한의 고고자료에 기인

김원룡

1964

「한국문화의

고고학적 연구」

            ┎ 초기철기문화 - 중국+북방문화 전파

철기시대 ┨

            ┖ 김해문화 - 낙랑(한대)문화 전파

김해패총 · 토기 언급

김정학

1967

「웅천패총연구」

김해문화 대신 웅천기 주장

웅천패총을 표준유적으로 판단

김원룡

1973

『한국고고학개설』

(초판)

김해문화 ┒

            ┠ 原三國時代(서력기원전후~A.D 300)

  웅천기 ┚

새로운 용어 및 시대구분 제시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삼국시대

1977

『한국고고학개설』

(2판)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원삼국시대-삼국시대

초기철기시대가 청동기시대 후기로 편입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조선고고개요』

원시사회(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노예사회(고조선)-봉건사회(삼국 이후)

삼시대법+유물사관

김정배

1979

「한국고고학에 있어

서 시대구분문제」

시대구분에 역사성이 내재해야 한다고 하면서 사회 · 경제적인 시대구분의 필요성을 역설

구체적인 대안

제시하지 못함

西谷正

1982

韓國考古學の時代區分について

구석기시대-즐문토기시대-무문토기시대-원삼국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

일본식 시대구분법 적용

시간적 범위의 확대

한국고고학회

1986

「한국고고학 시대구

분의 제문제」

각 시대의 시기구분에 대한 논의

시대구분의 개념 및 방법론에 대한 토론 없음

김원룡

1986

『한국고고학개설』

(3판)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연대 추가

각 연대 보정

임효재

1993

「선사시대 남북한

시대구분의 비교」

북한고고학이 주체사관에 입각하였음을 지적

남북한의 연구성과 비교

노혁진

1987

「시대구분에 대한 일견해」

구석기문화기-즐문토기문화기-무문토기 · 요령청동문화기-세형동검 · 초기철기문화기-삼국의 정립

삼시대법을 부정

새로운 구분법이 기존 방식과 큰 차이가 없음

1994

「한국 선사문화 형성

과정의 시대구분」

수렵어로채집문화기-무문농경 · 요령청동문화기-한국식농경문화기-국가형성기-삼국시대

새로운 개념 도입

절대연대근거 부족

Nelson

1993

the archaeology of Korea

수렵채집인-초기마을-거석 · 도작 · 청동기-

철기 · 교역 · 개발-삼국시대

신개념 도입

연대비정 상의 문제

노혁진

2000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문

화와 시대의 용례 문제」

인류학, 역사학과의 연계가 필수적임을 지적

‘문화’와 ‘시대’의 용어를 혼동하고 있음을 지적

정확한 대안 제시 못함

기존 연대에 불신감

 

 

연구자

연대

저작 제목

논점

비고

신석기 및 청동기

안승모

1988

「신석기시대」

토기 · 마제석기 사용, 농경 발생

농경 발생 여부에 중점

윤무병

1972

「한국 청동유물의 연구」

무문토기의 발생에 따른 편년 부정

청동기시대 표지유물에 대한 논란

金延鶴 編

1972

『韓國の考古學』

무문토기 초기 유적에서 청동기 출토

무문토기를 기준으로 청동기시대 편년

초기철기시대

김원룡

1973

『한국고고학개설』

(초판)

초기철기문화에 후기 청동기문화 포함

최초로 유입된 철기문화를 지칭

김양옥

1976

「한반도 철기시대 토기의 연구」

초기철기문화와 원삼국문화 사이의 차이점이 없음을 주장

문화 구분에 대한 반론

김원룡

1977

『한국고고학개설』

(2판)

기원전후~300년까지의 원삼국문화를 초기철기문화로 표기

기존 견해를 수정

이남규

1982

「남한 초기철기문화의 일고찰」

철기가 유입된 시기부터 고총고분 발생 이전까지로 편년

김원룡의 견해를 수용

한영희

1984

「철기시대-주거생활」

국사편찬위원회

1977

『한국사』1

철기시대라는 용어를 대신 사용

용어만 수정

최몽룡

1985

「역사학과 고고학」

청동기 후기(철기 1기)를 초기철기시대로 보자는 견해

문화적 경계가 불분명한 상황을 대변

1987

「고고학 시대구분에 대한 약간의 제언」

김원룡

1986

『한국고고학개설』

(3판)

초기철기시대를 철기문화로 정의

B.C 300~ A.D 300년

연대를 포괄적으로 확정

문제점

1. 초기철기시대의 개념 속에 청동기문화가 포함(ex. 세형동검, 점토대토기 등)

2. 철기가 처음 사용되었는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는지 구분이 불분명함

이종선

1989

「오르도스 후기 금속문화와 한국의 철기문화」

‘초기’라는 시대구분의 부적당함

그냥 철기시대로 부르자는 주장

·

정징원

1989

「경남지방의 청동기

유적과 유물」

직접적인 언급은 없음

청동기 후기와 철기시대를 분명히 구분함

경남지방 청동기시대를 4기로 구분함

최몽룡

1993

「한국 철기시대의 시대구분」

초기철기시대의 잘못된 개념 지적

시대구분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 실시

원삼국시대

김원룡

1973

『한국고고학개설』

(초판)

고고학계 : 김해시대

원삼국시대 명명

역사시대 : 삼한시대┚

서력기원 직후 2세기 또는 2세기 반

1986

『한국고고학개설』

(2판)

서력기원 직후 300년으로 연대 확정

원초삼국시대 or 원사 삼국시대의 의미

최몽룡

1988

「역사고고학연구의 방향」

‘삼국시대 전기’ 시대구분 주장

삼국의 성장 과정을 주목하여 그에 따라 시기구분을 함

1990

「전남지방 삼국시대 전기의 고고학 연구현황」

비판

최성락

1988

「원삼국기 토기의 변천과 문제점」

원삼국시대는 고고학을 잘 이해하지 못 한 상태에서 나온 시대구분임

대표유적이 불분명

문화적 변화를 고정시킴

한병삼

1992

「동북아 고대문화에 있어서의 원삼국 초기문화

원삼국시대의 공간적 대상을 한반도 중부로 한정짓자는 견해

고고학계 스스로 시대구분의 모순을 인정

이현혜

1992

「원삼국시대론 검토」

역사학계와의 인식 상반(원사 vs 역사)

고구려를 제외한 지역에만 해당

원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문화내용이 불분명

시대구분에 대한 포괄적인 비판

최병현

2007

『한국고고학강의』

탄력적인 시기 설정을 강조

대안을 제시하지 못함

 

※ 한국고고학상 드러난 문제점

 

1. 삼시대법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보이지 않음

    - 당시 문화의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이뤄지지 못함

2. 원사시대(原史時代)의 구분이 부정확함

    - 고고학과 역사학의 시대구분 접목이 관건

3. 한국고고학의 시 · 공간적 범위가 확정되어야 함

4. 각 시대의 연대비정에 제대로 된 근거가 제시되지 않음

 

Ⅲ. 시대구분의 개념과 명칭문제

 

지역

연구자

연대

내용

비고

유럽

덴마크

(스칸디나비아)

Suhm

1776

덴마크, 노르웨이, 홀슈타인에서 일찍이 石, 銅, 鐵製 도구가 사용됨을 지적

 

Skuli Thorlacius

1802

주로 무기를 분석하여 석기, 동기, 철기의 연속된 3시기 언급

 

Nyerup

1806

국립고대유물박물관의 설립 주장

고유물 분류법을 모름

Simonsen

1813~1816

석기시대, 동기시대, 철기시대로 구분

- 각 시기는 정확한 경계가 없음을 지적

가장 잘 보존되는 동, 석제품이 발견됨을 지적

Thomsen

1836

돌, 청동, 철의 순서로 유물 배치, 안내문 작성

 

Worsaae

1843

석기- 청동기- 철기시대 구분, 삼시대법 완성

톰센의 견해 보완

프랑스

Lubbok

1865

석기시대 - 구석기 · 신석기시대로 분류

 

Westropp

1866

중석기시대의 개념을 제시

 

스웨덴

Montelius

1912

형식학적 방법 완성

고고학 연구의 획기적인 틀을 마련

·

Fleure

1924

같은 시대라도 다시 세분화되는 등 기존의 삼시대법 분류법으로는 감당하기 힘들어짐

기존의 삼시대법 비판

- 고정된 시기구분 비판

호주

V.G.Childe

1925

식량채집자들, 농업혁명, 도시혁명의 문화요소 제시

영국

Piggot

1965

다양한 모델이 존재하며 끊임없이 수정이 가해짐

Daniel

1968

C14 연대측정법이 보편, 문화가 다양하게 설명됨

삼시대법의 비효율성 지적

·

Phillips

1980

삼시대법 그대로 적용

일부에서는 계속 사용

Champion

1987

문화 변천에 따른 시기구분을 제기

 

미국

Willy & Phillips

1958

석기-고기-형성기-고전기-후기고전기

처음부터 삼시대법을 받아들이지 않음

Willy & Sabloff

1974

지역별로 다른 문화발전단계를 제시

중국

중국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84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 뒤로는 왕조로 시대구분

삼시대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지만 독자적인 시대구분법을 적용

장광직

1986

구석기시대-초기농경기-신석기문화기-문명의 시작-초기문명기

일본

齊藤忠

1982

구석기시대(선토기시대, 무토기시대)-조몽시대-야요이시대-고훈시대

고훈시대라는 독특한 시기를 설정

한국

김정배

1979

사회 · 경제적인 시대구분의 필요성 강조

삼시대법 탈피를 시도

이청규

1982

세형동검은 청동기문화의 요소이므로 이것이 초기철기시대 구분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

남북한간 문화의 차이 고려

西谷正

1982

시간적 범위를 조선시대까지 확대

 

최성락

1984

삼시대법 탈피를 주장

 

김원룡

1986

시간적 범위를 통일신라시대까지 확대

 

이희준

1988

시간적 범위를 조선시대까지 확대

 

이송래

1988

고총고분 등장을 기준하여 철기시대-삼국시대로 구분

문헌이 아닌 고고자료에 의한 시대구분 주장

이선복

1991

삼시대법 사용 여부보다 각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더 중요하다는 견해

 

전경수

1993

최몽룡

1993

삼시대법 사용으로 식민사관을 극복

금석병용기 부정

노혁진

1994

삼시대법은 일본의 잔재라는 극단적인 주장

 

최정필

1994

신진화론의 사회발전단계설을 도입

각 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지 못함

한국고고학회

2007

남북국시대로 한정

- 영산강유역 추가(공간적범위 확대)

기존 편년 고수

 

Ⅳ. 각 시대의 연대문제

 

시대구분

연구자

연대

저서

내용

비고

구석기 · 중석기시대

이선복

1988

「구석기시대」

신생대 4기 홍적세 시기인 1만년 이전으로 파악하는데 이견이 없음

유적의 시기 분류가 논란

배기동

1991

「구석기시대」

기존 한국학계

1970년대 초반

한국 신석기시대 상한을 기원전 3,000년대로 파악

일본의 C14 연대측정결과 무시- 기원전 3,000년경을 조몽문화의 개시기로 파악

최성락

1982

「방사성탄소측정연대 문제의 검토」

C14 연대측정 결과, 기원전 6,000년대까지 상한될 근거가 마련

C14 연대와 실연대와의 비교

김원룡

1977

『한국고고학개설』(2판)

조기-전기-중기-후기로 분류

 

임효재

1983

「서해안지역의 즐문 토기문화」

전기-중기-후기로 분류

중부지역에 한정함

안승모

1988

「신석기시대」

부산 동삼동유적 및 김해 수가리유적을 통한 신석기문화 편년 시도

지역별로 다른 구분이 시도

기존

한국학계

한국 청동기문화가 시베리아 카라수크문화(B.C 1,200~700)에서 발원하여 뒤이은 타가르문화(B.C 700~200)의 남파와 연관이 있다고 판단.

이백규

1974

「경기도 출토 무문

토기 · 마제석기」

남한지역 청동기문화를 전기 · 후기로 분류

토기 및 석기를 기준

과학 · 백과

사전출판사

1977

『조선고고학개요』

무문토기의 개시기를 기원전 2,000년대로 파악

남한보다 이름

최성락

1982

「방사성탄소측정연대 문제의 검토」

무문토기 사용개시를 기원전 1,300년으로 상한

C14 연대측정법

이청규

1988

「광복 후 남북한 청동

기시대의 연구성과」

중국 요령지방 문화와 무문토기문화

초기 유적을 포함

공간적 범위의 확대

하인수

1988

「영남지방 단도마연토기의 신고찰」

중기를 추가하여 중기에 송국리문화 설정

요령식동검문화도 포함

시대구분이 세분화

윤무병

1989

「청동기 및 초기철기

시대의 한 · 일관계」

임효재

1993

「선사시대 남북한 시대구분의 비교」

공간적 범위를 중국동북까지 포함하여 청동기문화를 신석기시대 말기와 연결

북한의 연구성과 비판 - 타당성 결여

Nelson

1993

the archaeology

of Korea

C14 연대를 이용하여 기원전 2,000년을 주장 - 이중구연토기를 무문토기로 오해

 

기존

한국학계

북한

철기문화 개시기를 기원전 7세기경으로 파악 - 철기가 요령식 동검 시기에 이미 확인

『조선고고학개요』에서 기원전 5~4세기 · 3~2세기로 분류 - 출토 유물이 극히 적음

남한

일반적으로 기원전 4~3세기로 파악

최성락

1982

「방사성탄소측정연대 문제의 검토」

철기시대 개시기를 세형동검 후반기로 비정

C14 연대측정 결과 - 남부 B.C 200년경

 

1993

『한국 원삼국문화의 연구』

철기의 유입기-철기문화 개시기-철기문화

로 접어든 단계-철기문화 발전기

철기시대를 4기로 분류

삼국

시대

최성락

1995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시대구분론」

고총고분 발생을 기준

- 일본의 고훈시대와 다름

 

 

Ⅴ. 맺음말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B.C 6,000~1,300)

3) 청동기시대(B.C 1,300~300 · 200)

4) 철기시대(B.C 300 · 200~국가성립 이전)

5) 삼국시대(국가성립 이후~)

 

※ 참고문헌

 

金元龍, 1986,『韓國考古學槪說』(3판), 一志社

金貞培, 1979,「韓國 考古學에 있어서 時代區分 問題」『韓國學報』 14, 一志社

金廷鶴, 1967,「雄川貝塚硏究」『아세아연구』10-4, 고대 아세아연구소.

노혁진, 2000,「한국고고학에 있어서 ‘文化’와 ‘時代’의 用例 문제」『先史와 古代』14, 한국고대학회

任孝宰, 1983,「西海岸地域의 櫛文土器文化」『한국고고학보』14 · 15, 한국고고학회

鄭澄元, 1989,「慶南地方의 靑銅器遺蹟과 遺物」『한국고고학보』12, 한국고고학회

崔夢龍, 1990,「全南地方 三國時代 前期의 考古學 硏究現況」『한국고고학보』24, 한국고고학회

崔夢龍 · 崔盛洛 編, 1997,『인물로 본 고고학사』, 한울아카데미

崔盛洛, 1995,「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시대구분론」『아세아고문화』, 석계황용훈교수정년기념논총, 학연문화사

한국고고학회, 2007,『한국고고학강의』, (주)사회평론

Glyn Daniel 著 · 金貞培 譯, 1992,『考古學發達史』, 신서원

출처 : 뿌리아름역사동아리
글쓴이 : 麗輝 원글보기
메모 :